본문 바로가기
여행 여기저기

(순살자이)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조사결과 발표

by LIVE YOUR LIFE EVERYWHERE 2023. 7. 6.
300x250

인천 서구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개요

 (/) ‘23.4.29() 23:25분경 / 인천 서구 원당동 531 일원

 (경위) 202동과 203동 사이 지하 1층 상부 슬래브( 1,104) 붕괴와 이로 인한 지하 2층 상부

    슬래브  ( 185)의 붕괴

 

 사고발생 시각이 늦은 밤으로 인명피해 없음

 

 

아파트 붕괴현장
붕괴현장

 

(원인)

전단보강근 미설치에 따른 전단내력 부족
조경공사 등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시공하중에 대한 조치 미흡
붕괴구간 콘크리트의 재료품질 저하

사조 위 사고조사 결과 전단보강근 누락, 콘크리트 강도 부족 등 원인 지목

 

토교통부(장관 원희룡) 인천 검단 아파트 건설현장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건설사고조사위원회(5.9.~7.1.)사고조사 결과와 사고현장 특별점검(5.2.~5.11.) 결과공개하였다.

 

* ’23.4.29() 23:25경 지하 주차장 슬래브가 붕괴 (지하 1~2층 약 1,289m2, 인명피해 없음)토교통부(장관 원희룡) 인천 검단 아파트 건설현장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건설사고조사위원회(5.9.~7.1.)사고조사 결과와 사고현장 특별점검(5.2.~5.11.) 결과공개하였다.

 

* ’23.4.29(토’ 23.4.29(토) 23:25경 지하 주차장 슬래브가 붕괴 (지하 1~2층 약 1,289m2, 인명피해 없음)

 

건설사고조사위원회(위원장: 호서대 홍건호 교수, 이하 사조 위)는) 사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설계·감리·시공 부실 인한 전단보강근미설치, 붕괴구간 콘크리트 강도부족 등 품질관리 미흡, 공사과정에서 추가되는 하중적게 고려한 것을 주요 사고원인으로 지목하였다.

 

사조 위는 이에 대한 재발방지대책으로 무량판 구조의 심의절차 강화 전문가 참여 확대, 레미콘 품질관리 및 현장 콘크리트 품질 개선, 검측절차 강화 관련 기준의 연계·보완을 제안하였다.

 

사조위 홍건호 위원장최종보고서는 조사결과 등을 정리·보완하여 7월 중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이며, 조사보고서향후 유사사고 재발방지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국토부 누리집(www.molit.go.kr)과 건설안전 종합정보망(www.csi.go.kr)을 통해 공개 예정

 

특별점검단(단장: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건설안전국장)정기 안전점검 미실, 안전관리비의 용도와 다른 사용 등 안전관리 미흡사항, 품질관리계획 미흡 등 품질관리 미흡, 구조계산서와 설계도면의 불일치, 설계와 다른 시공 등 설계·시공·감리 단계미흡사항지적하였다.

 

토교통부 김규철 기술안전정책관특별점검 지적내용사조에서 규명된 원인조사 결과를 토대로 위법 사항 대해서는 관계기관엄정한 조치를 요구하고, 재발방지대책도 조속히 마련하여 유사한 사고 재발하지 않도록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붕괴사고 발생 원인

(전단보강근 미설치) 설계·감리·시공 부실보강근 미설치

 

(설계) 붕괴발생지하주차장 슬래브 인근의 도면을 분석한 결과, 구조설계 상 모든 기둥(32개소)전단보강근필요하나, 기둥 15개소전단보강근 미적용 기둥으로 표기

 

(감리) 철근작업상세도(Shop Drawing) 작성(시공사) 도면확인·승인하는 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함

 

(시공) 32개소 중 붕괴된 위치 등 확인이 불가한 기둥을 제외하고 8개소8 조사 결과 4개소에서 설계와 다르게 전단보강근을 누락

 

 

300x250